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대감집 체험기
- ADP
- python
- LDA
- 프론트엔드
- DBSCAN
- 머신러닝
- TooBigToInnovate
- docker
- React
- do it
- 리액트
- 쿠버네티스
- 구글
- 클러스터링
- 파이썬
- Kaggle
- Kubernetes
- r
- ADP 실기
- 빅쿼리
- 캐글
- 심층신경망
- Machine Learning
- bigquery
- frontend
- 타입스크립트
- 대감집
- 최적화
- 차원 축소
- Today
- Total
No Story, No Ecstasy
토픽 모델링 - LDA, Mallet LDA, Guided LDA 본문
* 이 글은 rupert님의 블로그의 토픽 모델링 관련 글들을 공부하여 정리한 글입니다.
https://bab2min.tistory.com/567?category=673750
0. 토픽 모델이란
문서에 등장하는 단어들의 분포를 통해 잠재적인 주제를 발견하는 통계적 알고리즘
1. 베이즈 추론
- 토픽 모델링 알고리즘 LDA는 베이즈 추론에 기반한다.
- 베이즈 추론의 순서
1. 어떤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가정
2. 추가적인 관측 발생 시, 그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더 정확하게 추론
- 즉, 관측이 많을수록 더 정확해진다.
- 특정 사건과 짝을 이루는 사전 확률 분포를 켤레 사전 분포라고 한다.
. 이항 분포의 켤레 사전 분포는 Beta
. 다항 분포의 켤레 사전 분포는 Dirichlet
2. 디리클레(Dirichlet) 분포: LDA 의 베이즈 추론에 활용되는 분포
- 베타 분포: 사건 발생 횟수 a-1번, 발생하지 않은 횟수 b-1번 관측 시, 발생 확률 p를 표현하는 분포. B(p; a, b)
- 디리클레 분포: 베타 분포를 k가지 경우를 다루도록 확장한 버전. Dir( p1, ..., pk; a1, ..., ak)
- LDA에서는 베이즈 추론에 이 디리클레 분포를 사용한다.
3. 깁스 샘플링
- LDA는 문서, 단어의 사후 확률을 추정하는 것인데, 단어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계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.
- 따라서, 이를 빠르고 쉽게 하기 위하여 깁스 샘플링을 활용한다. 깁스 샘플링은 N개의 자료 중 N-1개를 고정하고 한 차원에 대한 자료만 샘플링한 후 합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.
- 깁스 샘플링을 활용한 LDA 과정
(1) 각 단어에 임의의 주제 배정,
(2) n번째 단어를 골라서 제외,
(3) 나머지 단어들만으로 문헌의 주제 분포, P(Topic|Document)를 계산하고, 그 단어가 속한 주제의 단어 분포, P(Word|Topic)를 계산한다. 각 분포를 곱하여 가장 높은 확률을 제공하는 Topic을 제외시켰던 n번째 단어에 재배치한다.
(4) 충분히 수렴할 때까지 2, 3단계 반복
- 샘플링 때문에 매번 결과가 달라질 수 밖에 없다. 토픽 개수 K와 hyper parameter 를 잘 튜닝해야 한다.
4. LSA (Latent Semantic Analysis)
- SVD (Singular Value Decomposition): 행렬 데이터의 차원을 축소하기 위해 사용된다.
https://darkpgmr.tistory.com/106
- 문헌-용어 행렬을 특이값 분해를 통해 더 작은 크기의 행렬로 표현하여 잠재적 의미를 분석한다.
(cute animal로 검색해도 kitty나 hamster가 포함된 문헌을 얻어낼 수 있다)
5. pLSA (probabilistic Latent Semantic Analysis)
- 문헌-용어 행렬 내 값을 특정 용어가 등장한 횟수가 아닌, 문헌 내 특정 용어의 등장 확률을 활용한 것
- 확률을 사용하기에 모든 값이 0-1 사이의 값을 가진다. -> SVD를 활용할 수 없게 됨. 대신 NMF를 사용함
- 그러나, 여전히 문헌 내 주제의 분포는 고려하지 않는 것이 약점으로 지적됨 -> LDA가 등장함
6. LDA
- pLSA는 새로운 문헌을 생성해내는 것을 잘 다루지 못했는데, 디리클레 분포를 적용하여 이를 보완함
- 토픽 별 단어의 분포, 문서 별 토픽의 분포를 모두 추정한다.
- K개 주제가 있다면, k개 주제 중 하나를 고르는 행위는 다항 분포이다.
- 주제에 포함된 단어 v개가 있다면, v개 단어 중 하나를 고르는 행위도 다항분포이다.
- 이 다항 분포들의 사전 확률을 켤레 사전 분포인 디리클레 분포로 둔다. (즉, 문헌 별 토픽 분포와 주제 별 단어 분포 모두 디리클레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.)
7. Mallet LDA
- 깁스 샘플링 알고리즘을 최적화(https://mimno.infosci.cornell.edu/papers/fast-topic-model.pdf)
- 시간, 메모리 성능을 높임
8. Guided LDA
- 각 토픽에 seed words를 줌으로써 토픽 분포를 형성하는데 방향성을 제공
- 일반 LDA는 각 단어의 초기 주제가 랜덤으로 할당되는데, 특정 단어들에는 특정 주제의 할당 확률을 높일 수 있음
- LDA의 결과물이 일반적인 인식이나 기대와 너무 다르게 나왔을 경우, 사용할 수 있다.
'Data Science Seri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토인코더 (Autoencoder) (0) | 2021.05.30 |
---|---|
심층 신경망 (DNN) 훈련 (0) | 2021.05.29 |
HDBSCAN (Hierarchical DBSCAN) (0) | 2021.05.25 |
[Kaggle Visualization] Python basic code (0) | 2021.04.28 |
[Kaggle Pandas] Python basic code (0) | 2021.04.28 |